열린마당

COMMUNICATION ROOM

게시판


게임중독 편향된 연구결과...의료화 논리의 부작용

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9-04-29
조회수 2724

https://www.ajunews.com/view/20190419192429890 

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부정적 인식의 문제점 짚는 '게임 이용 및 과몰입' 세미나 개최-게임 기능적 논의 한계 지적...‘WHO 질병코드 도입’ 관련 의료화 논리 부작용 주장

윤태진 연세대 교수(왼쪽에서 네번째)가 19일 이화여자대학교 신세계관에서 열린 '게임 이용 및 과몰입에 대한 커뮤니케이션학적 접근'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이소라 기자] 


오는 5월로 예정된 WHO(세계보건기구)의 게임 질병코드 도입이 의료화 논리의 부작용에서 비롯됐다는 전문가 집단의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는 19일 이화여자대학교 신세계관에서 '게임 이용 및 과몰입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게임에 대한 국내외 사회적 인식 해법을 논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토론회 좌장을 맡은 윤태진 연세대 교수 “우리나라만큼 게임을 부정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나라는 중국밖에 없다. 편향성에 있어서는 국내 연구가 최다”라며 “게임은 중독의 척도가 없다. 연구자에 따라 프로테이지가 많은 차이를 보이는 데 이런 연구는 어떤 분야에도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WHO 질병코드를 부여는 연구 외적인 영향의 혐의를 지우기 어렵다. 대부분의 중독연구를 한국의 정신건강의료계가 주도적으로 만들어가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 WHO를 신뢰하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했다. 

유현재 서강대 교수는 또한 “보건정신학에서 의료화라는 개념이 있는데. 모든 것을 병원에 가서 해결해야하는 것처럼 구조화 되는 것”며 “수십년 전과 비교했을 때 우리사회에서 집에서 퇴원하는 분들이 없고, 유난히 목동과 대치동에는 ADHD가 많은 이유 등의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고 말했다. 게임중독 논리가 지배계급의 대중문화 억압의 역사와 맞닿아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게임과 문화정치’라는 주제 발표를 맡은 박근서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는 “대중문화콘텐츠는 수동적으로 소비되지 않고, 맹목적으로 수용되지도 않기 때문에 중독되기 어렵다. 게임 콘텐츠를 전략적으로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있는데 게임 자체를 문제시 하는 것은 문화 권력의 정치에 말려드는 일”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강격석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본부장은 "우리나라와 같이 중독 연구를 많이 하는 중국은 사상통제라는 차원에서 게임 규제를 강화해나가고 있다. 일본의 경우 질병 기준을 적용하는 데 성급하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며 "콘텐츠진흥원이나 문체부는 하나의 여가문화로써 인정받고 존중받을 필요가 있다라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게임의 폭력성과 선정성이 대중에 미치는 영향을 꼬집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유홍식 중앙대 교수는 “게임은 TV보다 폭력성과 선정성에 있어 많은 영향을 미친다. TV의 수동적인 시청과 게임의 능동적인 관여가 다르기 때문”이라며 “게임은 게이머가 행위를 주도하고, 사실적이고 극단적으로 묘사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 교수는 “게임중독 연구는 공격행동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헝가리, 독일, 네덜란드, 싱가폴 등 여러 국가에서 게임중독 연구가 많이 있다”며 “창의산업을 중독으로 바라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데 공감하지만, 실제 사회적 상황(게임 중독으로 인한 범죄)이 있기 때문에 최소한 게임업계가 스스로 방지하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보는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는 5월 개최되는 총회에서 '게임 장애 정식 질병 안건'을 통과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안건이 통과하면 게임 종주국인 국내 게임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전망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WHO에서 게임 장애를 질병화하는 것으로 확정하면 이를 바로 받아들이겠다"고 공언한 바 있어 매출의 일부를 과세하는 '중독세'도 재부상할 것으로 보여 게임업계 매출 타격이 예상된다.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Korea Health Communication Association

0376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이화-포스코관 연구동 301호 (이화여자대학교)

대표자: 최명일  Email: korea.healthcom@gmail.com

ISSN : 2093-2707 /  eISSN : 2671-5856 

COPYRIGHT© KHCA ALL RIGHTS RESERVED.